진이의 Developer Story
하드 정리하다보니 영상이 있어서 추억으로 블로그에 남겨봅니다.혼자하기엔 작업량이 방대해서 포기했었는데 아쉬움이 남네요. 에뮬레이터 만들면서 개발자 분들이 얼마나 고생하셨을지조금이나마 이해가 갑니다.
-- -------------------------------------------------------------------------------- -- Routine DDL -- Note: comments before and after the routine body will not be stored by the server -- -------------------------------------------------------------------------------- DELIMITER $$ CREATE DEFINER=`root`@`localhost` PROCEDURE `GenJavaModel`(in pTableName VARCHAR(255) ) BEGIN DECLARE vClassName varc..
스프링 부트가 많이 쓰임에 따라, 내장된 톰캣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존에는 톰캣을 따로 다운받아서, server.xml 등을 수정하여 톰캣을 사용했지만, 스프링 부트에서 제공을 하는 내장 톰캣의 경우 application.yml 이나 properties를 통하여 설정하거나 java 코드로 설정(ajp 등)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외부 톰캣을 사용할 경우, Project > Build Automatically 체크 후 server.xml 에서 reloadable만 false로 해주면 간단하게 Hot swapping이 되어, 메소드를 추가, 제거, 기타 ORM을 사용하여 쿼리를 작성하는 부분외에는 재시작없이 수정된 코드를 바로 확인해볼 수 있었다. 스프링 부트는 이번이 써보는 것이 두 번째인데, 저번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