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BMS (4)
진이의 Developer Story
-- -------------------------------------------------------------------------------- -- Routine DDL -- Note: comments before and after the routine body will not be stored by the server -- -------------------------------------------------------------------------------- DELIMITER $$ CREATE DEFINER=`root`@`localhost` PROCEDURE `GenJavaModel`(in pTableName VARCHAR(255) ) BEGIN DECLARE vClassName varc..
처음 구축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는 포스팅입니다. 포스팅을 하기에 앞서 여러가지 방법중 제일 효율적인 방법을 적고자 합니다. (1) 외부 사이트 API를 활용. (예시 : 다음 주소검색 API) (2) 우정사업본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구축 (3) 도로명주소(www.juso.or.kr)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 구축 저의 경우는 가장 쉬운 1번과 2번방법을 이용했습니다. (1) 다음 주소검색 API 다음에서 제공하는 js파일과 가이드에서 보여주는 html, 스크립트 코드만 넣으면 쉽게 도로명 주소를 구축하실 수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도로명 주소를 구축하면 좋겠지만, 우정사업본부에서 제공하는 600만건의 데이터, 그리고 인덱스를 잡다보면 용량이 어마어마하게 잡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소는 계속 업데이..
조인도 종류가 많습니다. INNER JOIN, LEFT OUTER JOIN 등... 처음 접하시는분은 이해가 가지 않을텐데요. 다이어그램을 보면 이해가 빠르더라구요~
개발에는 Copy&Paste 를 사용하다 보니, #과 $을 유심히 본적이 없었습니다. 아침에 출근해서 작일 작성한 mapper 파일을 살펴보는데 눈에 띄었습니다. SELECT COUNT(*) FROM USER WHERE ID = #{id} 위의 구문을 살펴보면 #이고 다른 구문 중엔 $이 사용되는 겁니다. 알아본 결과로는 PreparedStatement(#, 동적)와 Statement($, 정적)의 차이입니다. 1. PreparedStatement(#, 동적) 다음 예제로 확인해보겠습니다. // 작성된 매퍼구문 (id = admin) SELECT COUNT(*) FROM USER WHERE ID = #{id} // DBMS에서 받는 쿼리 SELECT COUNT(*) FROM USER WHERE I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