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이의 Developer Story
네이버, 다음메일 등에 있는 수신확인 기능은 어떤 원리일까? 본문
상대가 내 메일을 읽었을까?
학창시절 교수님들께 메일 많이 보내시죠.
내가 낸 과제는 읽었을까...? 출결을 못해서 못한 사유에 대한 메일을 보냈는데 받았을까...?
그러한 수신확인 기능이 제기능을 못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메일서버를 구축하던 도중 신비로운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postfix를 SMTP로 사용하며 devocot(pop3)과 조합하여 사용중입니다.
그래서 웹메일 오픈소스 (Roundcube)를 이용하여 웹메일을 구축하였는데, TEST 메일을 보내봤습니다.
네이버 -> 구글로 간 메일을 읽었을 때, 네이버 수신확인에서는 수신처리가 되었는데, 네이버에서 제 SMTP로 보낸 메일은 수신확인이 안되는... 놀라운 일이 ?
이렇게 메일을 보내고 수신확인함으로 이동했습니다.
캡처가 잘 안보이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읽지 않음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 웹메일로 들어가서 확인을 해보니...
메일이 도착했네요!
그리고 내용을 눌러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제가 보낸 제목과 내용 그대로 잘 도착한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제가 표시한 부분입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이 메시지의 외부 이미지가 차단되었습니다.
그리고는 수신확인함으로 다시 가서 확인을 해보니 역시나 읽지 않음.
혹시나 해서 이미지 표시를 해보았습니다.
아무런 이미지도 표시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소스보기로 확인을 해보았습니다.
<table style="display: none">
<tbody>
<tr>
<td>
<img src="https://mail.naver.com/readReceipt/notify/?img=BqFqb4krpBUYaqglaxJ0pACSMrE9MrE%2Fpz3CMot9M43SK6FCKqv%2FKxv%2FFxtrpx0gMX%2B0MoUZ74lR74lcWNFlbX30WLloWrdQaX%2B0M49CbX30bvI816%2FqKoMm74FTWt%3D%3D.gif" border="0">
</td>
</tr>
</tbody>
</table>
0x0 픽셀 이미지가 숨겨져있었는데, readReceipt? 왠지 이 이미지가 수신확인 기능을 해주는 것 같네요.
수신확인함을 확인해보니까...
역시나 이미지 확인한 23시 23분으로 수신확인일시가 되어있었습니다.
결론을 말씀드리자면, 이메일은 수신확인 기능을 할 수 있는 메일규격의 프로토콜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네이버나 다음은 저런 꼼수(?)를 사용해서 수신확인 기능을 만들어 놓은 것입니다.
음.. 그리고 저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는 결론.
상대가 내 메일을 읽지 않았다고 해서 읽지 않은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라는 점입니다.
저처럼 이미지 표시를 막아두었다면 이런 사태가 벌어질 수 있겠죠.
그러니 수신확인기능을 너무 믿지 말자는 점입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tv 모니터링 결과 (0) | 2017.05.04 |
---|---|
앞으로 공부할 내용 & 구매도서 정리 (0) | 2017.04.13 |
리눅스 서버 KST로 변경하기 (0) | 2017.01.03 |
리눅스 해외 IP 차단하기 (0) | 2016.12.12 |
티스토리 초대장 나눔합니다. (0) | 2016.12.09 |